제주도에서는 탁주를 두고 '오메기 술' 이라고 한다.
'오메기술'은 탁주를 만드는 술떡의 이름인 '오메기'에서 비롯되었으며,
'오메기술'은 실로 제주적이라서 무형문화재 제 3호로 지정되었다.
성읍민속마을을 지나던 중 마침 오메기술 기능 보유자의 집이 보여 방문해 보았다.
'오메기술'은 탁주를 만드는 술떡의 이름인 '오메기'에서 비롯되었으며,
'오메기술'은 실로 제주적이라서 무형문화재 제 3호로 지정되었다.
성읍민속마을을 지나던 중 마침 오메기술 기능 보유자의 집이 보여 방문해 보았다.
곳곳에 장독대들이 운치를 더해주었다.
여름에는 평상에 앉아 마실수 있다고 한다.
그날은 날씨가 추워 할머니께서 집으로 안내해 주셨다.

[오래된듯한 난로]

[오메기 술의 재료인 차좁쌀]
술빚는 순서를 조금 알아보면 !!
먼저 메좁쌀을 8시간 정도 물에 담갔다가 건져
시루에서 90분 정도 쪄내거나 오메기떡을 만들어 쪄낸다.
그렇게 만들어진 술떡을 도고리에 부어 식힌 후
그 위에 미리 준비해놓은 누룩가루와 물을 간간이 뿌려가며 고루 섞어준다.
누룩을 섞은 술떡을 술항에 담은 후 물을 붓고 따뜻한 곳에서 발효시킨다.

여름에는 평상에 앉아 마실수 있다고 한다.
그날은 날씨가 추워 할머니께서 집으로 안내해 주셨다.
[오래된듯한 난로]
[오메기 술의 재료인 차좁쌀]
술빚는 순서를 조금 알아보면 !!
먼저 메좁쌀을 8시간 정도 물에 담갔다가 건져
시루에서 90분 정도 쪄내거나 오메기떡을 만들어 쪄낸다.
그렇게 만들어진 술떡을 도고리에 부어 식힌 후
그 위에 미리 준비해놓은 누룩가루와 물을 간간이 뿌려가며 고루 섞어준다.
누룩을 섞은 술떡을 술항에 담은 후 물을 붓고 따뜻한 곳에서 발효시킨다.
손수 술상을 준비해 주셨다.
오메기 술 의 맛은 발효된 상태여서 조금은 시큼했다.

오메기 술 의 맛은 발효된 상태여서 조금은 시큼했다.
마지막으로 할머니와 사진한장 ^^V
지금은 딸에게 오메기술 빚는법을 전수하였다고 하신다.
잠시나마 할머니의 말동무가 되어 줄 수 있어서 기분이 좋았다.
할머니와 얘기하고 있으니 몇해전 돌아가신 할머니가 생각나 마음 한켠이 짠~ 하였다.
배웅해 주시며 우리가 사라질때 까지 손을 흔드시던 할머니 모습이 아직도 생각난다.
할머니~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세요~!!
지금은 딸에게 오메기술 빚는법을 전수하였다고 하신다.
잠시나마 할머니의 말동무가 되어 줄 수 있어서 기분이 좋았다.
할머니와 얘기하고 있으니 몇해전 돌아가신 할머니가 생각나 마음 한켠이 짠~ 하였다.
배웅해 주시며 우리가 사라질때 까지 손을 흔드시던 할머니 모습이 아직도 생각난다.
할머니~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세요~!!
'먹는 즐거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제주맛집] 스테이크인가? 삼겹살인가? '산적'의 통삼겹살 (10) | 2010.02.10 |
---|---|
[제주맛집] 바다를 뚝배기에 담았다 - 삼다 해물 뚝배기 (7) | 2010.02.09 |
제주 전통술인 오메기술을 맛보고 오다 (5) | 2010.02.08 |
[제주맛집] 제주스러운 음식을 맛볼수 있는곳 - 유리네 (1) | 2010.02.02 |
[제주맛집] 단아한 분위기의 멋이 있는곳 - 나무 물꼬기 (1) | 2010.01.27 |
[제주맛집] 술먹은 다음날 찾게되는 곳 생태,동태 전문점 '어기여차' (3) | 2009.12.29 |
댓글을 달아 주세요
오우!! 제주도 전통술 오메기술!!!
이젠 제주 전통 음식도 다루시네요!!!
멋지다~ 나도 전통술 좋아하는데... 직접 만드는 곳까지 찾아가다니 대단!
오메기술..저도 맛보고싶네요^^
★ 오늘같은날 꿀맛같은것 같아요~
캬악 오메가3랑은 무슨상관이에요?